테드 메러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드 메러디스는 미국의 육상 선수이자 코치였다.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800m 금메달과 4 × 400m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400m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재학 시절에는 IC4A와 AAU 챔피언을 여러 차례 차지하며 440야드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1920년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이후 은퇴 후에는 부동산 중개인으로 활동하며, 1924년 파리 올림픽 기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코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체코슬로바키아 팀 코치 등을 역임했다. 메러디스는 1957년 뉴저지 주 캠던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남자 중거리달리기 선수 - 존 우드러프
존 우드러프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800m 금메달리스트이자 피츠버그 대학교 출신 육상 선수이며,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은퇴 후에는 젊은 운동선수들을 지도하며 사회 활동에 기여했다. - 미국의 남자 중거리달리기 선수 - 멜 셰퍼드
멜 셰퍼드는 "피어리스 멜"이라는 별명으로 불린 미국의 육상 선수로, 1908년과 1912년 올림픽에서 여러 개의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했다. - 1920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가이 버틀러
- 1920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필립 노엘베이커
필립 노엘베이커는 영국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 운동가, 육상 선수로서, 국제 연맹과 국제 연합에서 군축을 옹호한 공로로 1959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노동당 소속으로 영국 하원 의원과 공군부 장관, 영국 연방 관계부 장관을 역임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한스 브라운
한스 브라운은 독일의 육상 선수로,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800m 동메달과 혼성 계주 은메달을,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400m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했다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미시마 야히코
미시마 야히코는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 일본 육상 대표로 참가하고 개막식 기수를 맡았으며, 가쿠슈인과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은행원으로 근무한 인물이다.
테드 메러디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제임스 에드윈 메러디스 |
국적 | 미국 |
거주지 | 미국 |
출생일 | 1891년 11월 14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 하이츠 |
사망일 | 1957년 11월 2일 |
사망지 | 미국 뉴저지주 캠던 |
신장 | 1.75m |
체중 | 71kg |
스포츠 | 단거리 달리기 |
소속 클럽 | 뉴욕 AC, 뉴욕 |
올림픽 | |
참가 | 1912년 하계 올림픽 |
메달 기록 | |
금메달 | 1912 스톡홀름 800m |
금메달 | 1912 스톡홀름 4×400m 릴레이 |
2. 선수 경력
미국의 육상 선수로, 주로 중거리 달리기 종목에서 활약했다. 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 800m와 4 × 400m 계주 금메달을 포함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세계 기록도 수립했다.[2]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재학 중에도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하고 세계 기록을 경신하는 등 성공적인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잠시 선수 생활을 중단했다가 복귀하여 1920년 하계 올림픽에도 참가했다.[1]
두 번째 선수 생활 은퇴 후에는 부동산 중개인으로 활동하면서도 육상계와의 인연을 이어갔다. 1924년 하계 올림픽에는 기자로 참석했으며,[4]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보조 코치, 1936년 하계 올림픽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 코치, 쿠바 대표팀 코치 등을 역임하며 지도자로서 활동했다.[4]
그의 모교인 윌리엄슨 기계 기술 학교는 메러디스의 올림픽 관련 기념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1]
2. 1. 초기 경력 및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
메러디스는 1911년 윌리엄슨 기계 기술 학교를 졸업한 직후, 머서스버그 아카데미 학생 신분으로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코치 지미 커런의 지도를 받으며 1912년 미국 올림픽 팀에 합류했다.[2]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는 육상 800m 경기에 출전하여 1분 51.9초의 세계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이 경기 도중 약 804.67m 지점을 1분 52.5초에 통과하며 이 거리에서도 세계 기록을 세웠다.[2] 또한, 4 × 400m 계주에서도 미국 팀의 일원으로 금메달을 추가했으며, 400m 개인 경기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2]2. 2.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시절
스톡홀름 올림픽 이후, 메러디스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1914년부터 1916년까지 IC4A(Intercollegiate Association of Amateur Athletes of America) 440야드 챔피언이었으며, 1914년과 1915년에는 880야드 챔피언이었다. 그는 또한 1914년과 1915년에 AAU(Amateur Athletic Union) 440야드 타이틀을 획득했다.[3]1916년, 그는 440야드에서 47.4초의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이 기록은 1928년까지 깨지지 않았다. 같은 해에 그는 자신의 880야드 세계 기록을 1분 52.2초로 단축했다. 1915년 4월, 그는 세계 마일 계주 기록을 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팀의 마지막 주자로 뛰었으며, 이 팀에는 도널드 립핀코트도 포함되어 있었다.[3]
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복귀
메러디스는 1917년에 선수 생활에서 은퇴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에서 복무했다.[1] 그는 1920년 하계 올림픽에 복귀하여 400m 경기 준결승에서 탈락했고, 4 × 400m 계주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1]3. 은퇴 이후
두 번째 선수 생활에서 은퇴한 후, 메러디스는 부동산 중개인이 되었지만 육상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유지했다. 1924년에는 크리스티 왈시 신디케이트 소속 기자로서 파리에서 열린 1924년 하계 올림픽에 참석했다. 1928년에는 로손 로버트슨 감독 아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보조 코치로 활동했다. 이후 국제적인 코치 경력을 이어가, 1936년에는 베를린에서 개최된 1936년 하계 올림픽에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 코치로 참가했다. 또한 1937년과 1938년에는 중앙 아메리카 경기 대회를 준비하는 쿠바 대표팀을 지도했다.[4]
4. 사망
테드 메러디스는 1957년 11월 2일 뉴저지주 캠던에서 사망했다. 장례식은 뉴저지주 해던필드에서 거행되었으며, 20세기 초 미국 스포츠 및 펜실베이니아 스포츠계의 주요 인물들이 참석했다. 참석자 명단에는 지미 커런, 얼 이비, 도널드 립핀콧, 셔먼 랜더스, 월리스 맥커디, 래리 브라운, 조 록우드, 로버트 볼거, 조 베리, 앨리 밀러, 에드 하터, 폴 코스텔로 등이 포함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ed Meredith
https://www.olympedi[...]
2021-04-18
[2]
서적
Immortal of the Cinder Path – The Saga of James 'Ted' Meredith
privately published
[3]
뉴스
Penn's Relay Team Breaks Mile Record
The Sun
1915-04-25
[4]
간행물
Schoolboy Ted Meredith's Amazing Stockholm Games
http://library.la84.[...]
International Society of Olympic Historians
2023-01-19
[5]
뉴스
Former Coach, Ex-Stars Attend Meredith Rites
Philadelphia Inquirer
1957-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